Tiny Bunny
[Git] Git Add 명령어: . vs --all vs -A 차이점
·
🛠️Backend/Git
Git을 사용하다 보면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할 때 다양한 git add 옵션을 마주하게 됩니다. 특히 git add ., git add --all, git add -A 같은 명령어들은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미묘한 차이가 있어서 개발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곤 합니다.Git Add란?작업 디렉토리의 변경사항을 스테이징 영역(Index)으로 추가하는 명령어입니다. 커밋하기 전 단계로, 어떤 변경사항을 다음 커밋에 포함할지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주요 Git Add 명령어 비교1. git add . (점)현재 디렉토리와 하위 디렉토리의 모든 변경사항을 추가합니다.# 현재 위치 기준으로 변경사항 추가git add .특징:현재 디렉토리 기준으로 동작상위 디렉토리의 변경사항은 포함되지 않음가장 직관적이고..
[Git] 협업의 시작, Git 커밋 메시지 작성 규칙
·
🛠️Backend/Git
개발을 하다 보면 Git을 사용해서 코드 변경 사항을 관리하게 됩니다. 이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커밋 메시지 작성입니다."커밋 메시지는 코드 변경의 이유와 내용을 간결하게 설명하는 메모입니다."좋은 커밋 메시지는 나중에 코드를 다시 볼 때, 그리고 팀원들과 협업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치 책의 목차처럼 프로젝트의 변화 과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죠.커밋 메시지 규칙의 필요성1. 협업의 효율성팀 프로젝트에서 여러 개발자가 함께 작업할 때, 통일된 커밋 메시지 형식을 사용하면 다른 사람의 작업 내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2. 프로젝트 히스토리 관리나중에 특정 기능이 언제, 왜 추가되었는지 또는 어떤 버그가 언제 수정되었는지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3. 자동화 도구 활용CI..
[Git] Git Merge와 Rebase의 차이
·
🛠️Backend/Git
Git에서 협업 중 브랜치를 병합할 때 흔히 Merge와 Rebase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됩니다.두 방식 모두 브랜치를 통합하는 기능이지만, 커밋 히스토리와 협업 방식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방식의 개념, 장단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을 쓰는 게 좋은지까지 정리해봅니다. 💡Merge브랜치를 새로운 병합 커밋(Merge commit) 으로 합치는 방식병합 대상 브랜치의 커밋을 그대로 유지하면서,공통 조상에서 시작해 두 브랜치의 변경사항을 모두 포함한 새 커밋을 생성합니다.$ git checkout main$ git merge feature/login장점브랜치 작업 흐름이 그대로 남아 있어 이력 추적이 쉽고 안정적입니다.병합 커밋 덕분에 브랜치 간 변경 이력을 시각적으로 파악..
[Git] Git 기초 명령어(2)
·
🛠️Backend/Git
원격 저장소 관리원격 저장소 확인# 원격 저장소 목록 확인git remote -v현재 연결된 원격 저장소들을 보여줍니다.보통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GitHub나 GitLab 저장소가 연결되어 있습니다.fetch와 push URL이 각각 표시됩니다.최신 코드 받아오기#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코드 받아오기git pull origin main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사항을 로컬로 가져와서 자동으로 병합합니다.팀 프로젝트에서 다른 팀원의 작업을 내 로컬로 가져올 때 사용합니다.# 원격 저장소 정보만 가져오기 (병합은 안 함)git fetch origin원격 저장소의 정보만 가져오고 로컬 파일은 변경하지 않습니다.원격 저장소에 어떤 변경사항이 있는지 확인만 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유용한 Git 설정사용..
[Git] Git 기초 명령어 (1)
·
🛠️Backend/Git
🎒Git 푸시 과정 비유로 이해하기 (더보기)더보기Git을 숙제 제출함이라고 생각해보자Working Directory: 내 책상 (파일을 수정하는 곳)Staging Area: 가방 (제출할 숙제를 임시로 넣어두는 곳)Repository: 선생님 책상 (최종 제출된 숙제가 보관되는 곳)Remote Repository: 학교 서버 (모든 반 친구들이 볼 수 있는 곳)숙제를 하고→ 가방에 넣고→ 이름표 붙이고→ 선생님께 제출하는 것처럼, 코드를 수정하고→ add하고 (제출할 파일들을 선택)→ commit하고 (어떤 숙제인지 메모)→ push (서버에 업로드)혼자 숙제할 때는 마음대로 제출해도 되지만, 조별과제일 때는 친구들과 상의하고 제출해야 하는 것처럼, 팀 프로젝트에서는 더 신중히 해야 함!Git의 핵..
[Git] git branch '브랜치'란?
·
🛠️Backend/Git
Git을 사용할 때 브랜치를 잘 다루는 것은 협업과 버전 관리를 더 유연하고 안정적으로 만들어줍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브랜치가 뭔지, 그리고 실무에서 자주 쓰는 git branch 명령어를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참고: https://git-scm.com/docs/git-branch브랜치브랜치는 Git에서 작업 흐름을 분기하여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즉, 현재 코드(기준점)에서 새로운 줄기를 만들어서, 다른 기능이나 수정 작업을 따로 진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 main 브랜치는 배포용, feature/login 브랜치는 로그인 기능 개발용 등으로 분리해서 작업할 수 있음.자주 쓰는 git branch 명령어# 현재 브랜치 목록 확인git branch# 새로운 브랜치 생성git bran..
[Git] Git Repository Naming Convention 이름 규칙
·
🛠️Backend/Git
Git Repository Naming Convention1. 소문자를 사용해라 (use lower case) 2. 대시(-)를 사용해라 (use dashes)3. 명확하게 작성해라 (be specific)4. 일관성있게 작성해라 (be consistent) 1️⃣ 소문자를 사용해라(use lower case)리포지터리 이름은 소문자로 작성하자.GitHub는 대소문자를 구분하긴 하지만, 브라우저 URL에서는 자동으로 소문자로 변환되기도 하고,팀 협업이나 검색 시 혼란을 줄 수도 있음.❌ MyFirstProject →✅ my-first-project 2️⃣ 대시(-)를 사용해라(use dashes)여러 단어를 연결할 때는 언더바(_)나 카멜표기법(camelCase) 대신 하이픈(-)을 쓰는 게 깔끔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