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 10진수 2진수 변환
@leem
2025. 3. 27. 00:06
진법이란?
진법은 수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한 자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숫자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0진법(Decimal): 0부터 9까지 총 10개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숫자 체계입니다.
- 2진법(Binary): 0과 1, 두 개의 숫자만을 사용합니다.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10진수와 2진수의 차이점
- 10진수: 각 자리의 값은 10의 거듭제곱을 기반으로 합니다.
- 예: 345 = 3×10² + 4×10¹ + 5×10⁰
- 2진수: 각 자리의 값은 2의 거듭제곱을 기반으로 합니다.
- 예: 1011₂ = 1×2³ + 0×2² + 1×2¹ + 1×2⁰ = 8 + 0 + 2 + 1 = 11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려면 다음의 과정을 따릅니다:
- 해당 10진수 값을 2로 나눕니다.
- 나머지를 기록합니다.
- 몫을 다시 2로 나누고, 나머지를 기록하는 과정을 몫이 0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 기록한 나머지들을 역순으로 읽으면 2진수가 됩니다.
예제: 10진수 13을 2진수로 변환하기
- 13 ÷ 2 = 몫 6, 나머지 1
- 6 ÷ 2 = 몫 3, 나머지 0
- 3 ÷ 2 = 몫 1, 나머지 1
- 1 ÷ 2 = 몫 0, 나머지 1
나머지를 역순으로 읽으면 1101₂가 됩니다.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려면 각 자리의 값을 2의 거듭제곱으로 계산하여 더합니다.
예제: 2진수 1101₂를 10진수로 변환하기
- (1×2³) + (1×2²) + (0×2¹) + (1×2⁰)
- = 8 + 4 + 0 + 1
- = 13
복습
🔢 10진수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숫자 체계로,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이용한 '기수법(decimal)'입니다.
예) 10, 25, 100, 256 등
💻 2진수란?
컴퓨터는 전기 신호(켜짐: 1, 꺼짐: 0)로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0과 1만 사용하는 2진수(binary)를 사용합니다.
🔄 변환 방법 (10진수 → 2진수)
10진수를 2로 계속 나누고, 나올 때마다 나머지를 기록한 뒤, 그 나머지를 역순으로 읽으면 2진수로 변환됩니다.
✅ 변환 순서
- 10진수 값을 2로 나눈다.
-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 몫이 0이 될 때까지 2로 계속 나눈다.
- 나머지들을 역순으로 나열하면 2진수가 된다.
📌 예제: 13을 2진수로 변환
계산 과정 | 몫 | 나머지 |
13 ÷ 2 | 6 | 1 |
6 ÷ 2 | 3 | 0 |
3 ÷ 2 | 1 | 1 |
1 ÷ 2 | 0 | 1 |
👉 나머지를 역순으로 읽으면 1101
따라서 13(10진수) = 1101(2진수)
📌 예제: 25를 2진수로 변환
계산 과정 | 몫 | 나머지 |
25 ÷ 2 | 12 | 1 |
12 ÷ 2 | 6 | 0 |
6 ÷ 2 | 3 | 0 |
3 ÷ 2 | 1 | 1 |
1 ÷ 2 | 0 | 1 |
👉 나머지를 역순으로 읽으면 11001
따라서 25(10진수) = 11001(2진수)